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구 투수 용어 정리(선발투수, 중간계투, 마무리투수, 승리투수, 패전투수, 패스트볼, 변화구 등등)

by 토마토킴 2023. 6. 26.
반응형
SMALL

지난 번에는 야구 전광판과 야구 영어 약자 보는 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야구 용어 중 투수에 관련된 용어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야구전광판보는법

 

투수 용어 정리

 

1. 선발투수, 중간계투, 마무리투수

투수
야구투수

1) 선발투수 - 경기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투수입니다. 
 
2) 중간계투 - 선발과 마무리 투수 사이에 등판하는 투수를 칭하는 용어입니다.
① 프라이머리 셋업맨(Primary Setup Man)은 중간 계투 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선수입니다. 팀의 승리를 결정짓기 위한 마무리 투수가 등판하기 직전에 등판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마무리 투수 역할을 이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팀의 확실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한 강력한 불펜 투수입니다.
② 스윙맨(Swing Man)은 선발투수와 중간계투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투수입니다. 주로 선발투수가 일찍 무너진 상황에서 다음 중간계투로 가는 과정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런 연유로 제2의 선발 투수라고도 합니다.
③ 롱릴리프(Long Relief)는 스윙맨과 유사하게 선발 투수가 일찍 무너진 상황에서 등판하여 중간계투로 연결하기 위해 투구하는 투수입니다. 스윙맨과 비교 시 차이점은 3~4이닝 정도의 비교적 긴 이닝을 소화한다는 것입니다. 
④ 원포인트 릴리프(One Point Relief)는 주요한 상황에서 한 타자를 상대하기 위해 등판하는 중간계투 투수입니다. 대부분 왼손-자완 투수가 많이 지명됩니다. 이는 경기의 승부처 혹은 경기에 지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에 감독의 판단에 의해 투입되는 투수입니다. 단 한 타자 혹은 한 이닝까지만 이어간다는 특징으로 대부분의 투수는 전력투구를 펼치고 내려갑니다. 
⑤ 세컨더리 셋업맨(Secondary Setup Man)은 경기의 승리를 위한 경기에 등장하는 중간계투입니다. 투수진(불펜)을 운영하는 동안 의도치 않은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우 등판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는 승리를 확정 짓기 위해서 위해, 지고 있는 상황에선 추격을 위해 등판하는 중간계투입니다.
 
3) 마무리 투수 - 마무리 투수는 경기를 승리로 마무리하기 위해 등판하는 투수입니다. 주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하지만 경우에 따라선 절대 질 수 없는 경기에서 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추격을 위해 등판하며 대부분 1~2이닝을 소화하게 됩니다.

 

 


 
 

2. 승리투수, 패전투수, 홀드, 세이브

야구투수
야구투수

1) 승리투수 조건
선발투수로 나왔을 때 승리투수의 요건은 ① 5회 이상을 던져야 합니다. ② 5회 이후 교체될 때 팀이 이기고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③ 교체된 후 경기가 끝날 때까지 팀이 이기고 있어야 합니다. 불펜투수가 던지고 있을 때 비기거나 지고 있는 상황이 한 번이라도 생기면 무효입니다. 
불펜투수로 나왔을때 승리투수가 되는 요건은 선발투수가 던질 때는 팀이 지고 있거나 비기고 있었는데 불펜투수가 나온 후에 팀이 앞서게 되고 그 후 다른 투수로 교체되더라도 그 앞섬이 유지되면 승리투수가 됩니다. 
 
2) 패전투수 조건
선발투수가 등판한 후 처음부터 점수를 허용하여 팀이 패배한 경우 선발투수가 패전투수가 됩니다. 또한 앞서가던 팀에서 등판한 중간계투나 마무리투수가 역전을 허용하여 팀이 역전패를 당한 경우 해당 투수가 패전투수가 됩니다.
 
3) 홀드 조건
 홀드는 중간 계투로 등판한 투수에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Hold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든 중간계투에 이어 등판한 투수로 단 1점도 허용해선 안됩니다. 이어지는 투수 교체까지 등판시점에 기록된 팀 실점에 변동 없이 상대 팀을 1이닝 이상 막을 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4) 세이브 조건
팀이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마지막으로 등판하는 투수에게 기록되는 기록입니다. 실점을 하더라도 동점, 역전을 허용하지 않은 채 승리로 경기를 마치면 기록되는 기록입니다. 팀의 마무리 투수가 독식하는 기록입니다. 선발 투수 대비 더욱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되며 등판 후 역전을 허용해 패배를 기록하는 경우 적은 경기 기록에서 가치가 급락하는 포지션이 마무리 투수입니다.

 

 


 
 

3. 투수의 기록

1) 승률 : 승리한 경기 수 ÷ (승리한 경기 수 + 패배한 경기 수)
2) 방어율(ERA) : (총 자책점 x 9) ÷ 등판 이닝수
3) 9이닝당 볼넷 허용 수(BB/9) : (볼넷 개수 ÷ 등판 이닝수) x 9
4) 9이닝당 탈삼진 수(K/9) : (탈삼진 개수 ÷ 등판 이닝수) x 9
5) 이닝당 출루 허용률(WHIP) : (볼넷 개수 + 안타 개수) ÷ 등판 이닝수
 
 

4. 투수 공의 구질

1) 패스트볼 (Fastball) - 패스트볼이라고 불리는 빠른 공입니다.
 
 포심 패스트볼 (Four-seam Fastball)
포심 패스트볼은 투수가 던지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패스트볼입니다. 빠른 속도와 직선 궤적이 특징입니다. 포심 패스트볼은 삼진 아웃을 유도하거나 투수의 레퍼토리에서 다른 구종을 구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포심패스트볼
네이버, 두다피아 사진 인용

 

 투심 패스트볼 (Two-seam fastball)
투심 패스트볼은 포심 패스트볼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던지지만 더 많은 움직임이 있는 또 다른 유형의 패스트볼입니다. 투심 패스트볼은 공의 움직임으로 인해 타자의 땅볼과 약한 컨택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반대편 타자를 상대할 때 유용합니다.

투심패스트볼
네이버, 두다피아 사진 인용

 
 커터(Cutter, Cut Fastball)
커터 또는 컷 패스트볼은 포심 패스트볼과 투심 패스트볼의 요소를 모두 결합한 패스트볼의 변형입니다. 커터는 던질 때 포심 패스트볼과 비슷한 속도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투수의 글러브 쪽을 향해 늦게 측면으로 움직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타자가 견고하게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타구가 약하게 맞거나 스윙을 하다가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커터는 타자의 균형을 깨고 타이밍을 흐트러뜨리려는 투수들에게 인기 있는 투구입니다.

커터
네이버, 두다피아 사진 인용

 
 

2) 변화구 - 브레이킹볼 또는 오프 스피드는 야구에서 직구보다 낮은 속도로 던지는 투구 유형으로, 타석에 가까워질수록 공이 크게 움직이거나 궤적이 바뀌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투구는 속도와 움직임을 변화시켜 타자를 속이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타자가 제대로 맞히기 어렵게 만듭니다. 브레이킹볼과 오프 스피드 투구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투구의구종
네이버 디토디토 인용

① 체인지업(Change-Up)
체인지업은 직구처럼 보이지만 느린 속도로 이동하여 타자를 속이기 위해 고안된 오프 스피드(Off-Speed) 투구입니다. 체인지업의 주요 목표는 타자의 타이밍을 흐트러뜨려 타자가 일찍 스윙을 시작하여 미스하거나 약한 접촉을 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② 커브볼(Curve ball)
커브볼은 아래쪽과 수평으로 크게 움직이는 브레이킹 투구입니다. 투수는 검지와 중지로 솔기를 따라 공을 잡고 공에 탑스핀을 가합니다. 탑스핀으로 인해 공이 타자를 향해 날아갈 때 아래쪽으로 휘어져 마치 테이블에서 떨어지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킵니다.
 
③ 슬라이더(Slider)
슬라이더는 수평과 수직의 움직임이 결합된 또 다른 브레이킹 투구입니다. 투수는 공에 백스핀과 사이드핀을 혼합하여 타자에게 다가갈 때 공이 측면과 아래쪽으로 꺾이도록 합니다. 슬라이더의 스핀은 공이 옆으로 약간 아래쪽으로 꺾이도록 만들어 타자가 견고하게 타격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④ 포크볼(Forkball)
포크볼은 타석에 가까워질수록 급격하게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구종입니다. 포크볼은 스플릿 핑거 패스트볼(스플리터)과 비슷하지만 아래쪽으로 더 과장된 꺾임이 있습니다. 포크볼의 주요 목표는 타자를 속여 약한 접촉이나 스윙과 미스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⑤ 너클볼(Knuckleball)
너클볼은 최소한의 스핀으로 던지는 독특한 오프스피드 투구로, 예측할 수 없는 불규칙한 움직임이 특징입니다. 투수는 손가락 끝이나 너클을 공의 이음새에 대고 공을 잡은 후 밀듯이 공을 놓습니다. 스핀이 부족하면 공이 기류의 영향을 받아 불규칙하고 예측할 수 없는 궤적을 만들게 됩니다. 너클볼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타자들은 종종 너클볼을 맞히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야구장 전광판 보는 법, 야구 영어 약자 살펴보기

야구장에 가면 커다란 전광판을 볼 수 있습니다. 경기의 상황을 알려주는 알림판의 역할을 하죠. 그런데 전광판으로 경기에 관한 모든 것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영어 약자로 표시하

kyt1209.tistory.com

 
 

 

 

 

반응형
LIST